망막 재생 치료제 개발과 임상 계획

망막 손상으로 시력을 잃은 사람들에게 다시 빛을 볼 수 있는 길이 열릴지도 모겠습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손상된 망막을 재생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단순히 병의 진행을 늦추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로 시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엄청난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 치료법은 특히 퇴행성 망막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 획기적인 연구가 어떤 배경에서 출발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망막을 재생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 정말 궁금한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눈 건강, 생명과학, 바이오의료 기술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이야기입니다. 망막질환 치료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3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다양한 망막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황반변성, 망막색소변성증, 당뇨망막병증 등 다양한 질환들이 시력 상실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죠. 기존의 치료제들은 이들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 데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지만, 이미 손상된 시력을 되돌리기에는 큰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포유류의 망막은 한 번 손상되면 재생 능력이 매우 낮아, 실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때문에 망막 조직 자체를 되살릴 수 있는 치료법은 오랫동안 의학계의 숙제로 남아 있었죠. 이러한 상황에서 김진우 교수 연구팀의 성과는 단순한 실험실 성과가 아닌, 현실적인 치료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망막 재생을 억제하는 ‘프록스1’ 단백질, 그리고 돌파구 김 교수 연구팀은 망막 재생을 막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프록스1(PROX1)'이라는 단백질에 주목했습니다. 이 단백질은 손상된 망막에서 뮬러글리아 세포의 ‘역분화’를 억제하여, 신경세포 재생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뮬러글리아는 망막에서 재생의 잠재력을 지닌 세포인데,...